티스토리 뷰
목차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소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가리내로 30(금암동 705‑10)에 위치한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시외버스의 중심 허브로, 전북고속터미널 본사가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국 각 지역으로 운행되는 방대한 노선을 갖추고 있어 전주 지역 교통의 관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1967년에 처음 문을 열었으며, 57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지닌 시설입니다. 과거 동명항 인근에 자리하던 고속 및 시외터미널이 현재는 서로 분리 운영되며, 시외터미널은 동명동에 안정적으로 고착되었고, 최근에는 간이 관광안내소를 설치해 관광객 편의 향상을 위한 노력을 더하고 있습니다.
전주시외버스터미널 노선 정보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광역 시외버스 노선망을 기반으로 수도권부터 호남, 영남, 강원까지 넓은 범위를 아우릅니다.
- 수도권: 서울남부터미널(센트럴시티) 연결 – 한일장신대, 임실, 혁신도시, 전주대, 무주 등 경유 노선 포함
- 공항노선: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경유)행 하루 약 18회 운행, 첫차 01:00, 막차 16:20
- 광역권: 경기, 전라·충청·경상·강원 등 전국 주요 지역으로의 시외버스 완전 운행 가능
※ 운행 시간 및 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터미널 현장 또는 고속버스 예매 앱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버스 시간표 확인 및 예매
전주시외버스터미널 버스 승차권 예매는 코버스 및 버스타고 웹사이트, 모바일 앱, 전화 문의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를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은 '코버스' 또는 '버스타고'에서 예매가 가능하며, 지방 중소도시를 오가는 시외버스 노선은 주로 '버스타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속버스는 코버스로 시외버스는 버스타고에서 예매합니다.
전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승차권을 예매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노선 운영 주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예매 시스템도 나누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여행이나 이동 계획을 세울 때는 두 가지 예매 시스템을 모두 확인해보는 것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노선을 찾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버스 예매 홈페이지를 이용한 방법
전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예매할때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는 운영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노선에 따라 고속버스는 ‘코버스’로 시외버스는 ‘버스타고’를 이용해 적절히 나눠서 사용해야 편리하게 예매할 수 있습니다.
- ‘버스타고’ 또는 ‘코버스’와 같은 공식 예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해 원하는 노선을 설정합니다.
- 출발일과 시간을 선택한 후,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조회된 목록에서 탑승할 버스와 좌석을 선택합니다.
- 결제수단(신용카드, 간편결제 등)을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합니다.
- 예매 완료되면, PC에서 승차권을 출력하거나 모바일앱 혹은 문자로 받은 승차권을 확인합니다.
버스 예매 모바일 앱을 이용한 방법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도 모바일에서 간편하게 승차권을 예매할 수 있습니다.
- ‘버스타고’ 또는 ‘고속버스 티머니’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합니다.
- 앱을 실행한 후, ‘승차권 예매’ 메뉴로 이동합니다.
- 출발지, 도착지,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입력해 노선을 조회합니다.
- 목록에서 원하는 버스와 좌석 위치를 선택하고 ‘예약하기’를 누릅니다.
- 결제수단을 선택해 결제를 완료합니다.
- 예매가 완료되면 앱에서 모바일 승차권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버스 탑승 시 스마트폰 화면으로 승차권을 제시하면 됩니다.
1. 출발지, 도착지, 출발일을 입력하고 '조회하기'를 눌러주세요.
2. 조회결과 목록에서 버스를 선택하고 앉고싶은 좌석을 선택하세요. 이후 결제등 예매를 진행합니다.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는 운영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예매 전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고석버스와 시외버스는 예매 시스템이 다릅니다.
고속버스는 코버스, 시외버스는 버스타고에서 예매합니다. 노선에 따라 등록 시스템이 다르니 먼저 확인하세요. - 일부 정류소는 조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소규모 정류소는 시스템에 미등록된 경우가 있어, 현장 발권 또는 전화 예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정류소는 터미널과 다릅니다.
시설이 제한적이고 운행 횟수도 적기 때문에, 시간표와 정차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승차권 지참 필수
모바일 승차권 또는 출력본이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신분 확인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전주시외버스터미널 편의 시설 안내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기본적인 편의 시설을 갖춘 기능 중심의 터미널입니다.
- 유인 매표소와 무인 발권기 병행 운영
- 실내 대합실 및 매점 등의 간단한 편의시설 구비
- 터미널 주변에 공영주차장, 택시 승강장, 시내버스 정류장이 인접하여 환승 편리
- 시설 노후화로 인한 현대화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고 있음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지역 소개
전주시외버스터미널과 연결된 직관적 접근성을 활용한 다양한 지역 탐방지가 인접해 있습니다.
- 전주 한옥마을: 전통 문화 중심 관광지
- 전주 남부시장·객리단길: 전통과 트렌드가 공존하는 핫플
- 전주성지·경기전·오목대: 전주 지역 대표 역사문화 체험지
- 덕진공원·한국소리문화의전당: 여유로운 산책과 공연 감상 가능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주변 맛집 소개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는전통과 현지 맛을 한 데 즐길 수 있는 먹거리도 다양하게 모여 있습니다.
- 전주 콩나물국밥: 지역 대표 아침 메뉴
- 비빔밥 전문점: 한옥마을 인근에서 전주 비빔밥 정통 맛 가능
- 남부시장 분식가: 떡볶이, 순대 등 전통 분식 노점
- 카페거리: 객리단길 중심으로 브런치와 디저트 카페 다수
마무리글 -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50년 넘게 운영되어 온 역사 깊은 시외교통의 중심지입니다. 비록 시설의 현대화 논의는 계속되어 왔지만 현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전국 주요 지역으로 향하는 방대한 노선망과 환승 편의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주 방문이나 경유 계획 시, 이 터미널을 중심으로 동선을 구성하신다면 효율적인 이동과 풍부한 지역 체험이 가능할 것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라북도 기차역
- 버스타고
- 창원 여행
- 호남선 고속열차
- 경부선 srt 정차역
- 전라북도 시외버스
- 전북 시외버스
- 평택호 관광지
- 강원도 시외버스터미널
- srt 정차역
- 원주종합버스터미널
- 전주 맛집
- 전남 시외버스
- 전북 터미널
- 강원도 시외버스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전주시외버스터미널
- 고성 시외버스
- 창원역 예매 방법
- 강원도 버스터미널
- 경남 교통허브
- 경전선 srt
- 창원 맛집
- 백마고지
- 대구 터미널
- 전주터미널
- 전주 한옥마을
- 고속터미널역
- 강원 시외버스
- 경부선 고속버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